2. Mon Khmer 그룹_흐레(Hre) 족
EMIV - 7
Austro - Asian 언어 군 < Mon Khmer 그룹 >
흐레(Hre)족
- 다른 이름 : 모이 자 박(Moi Da Vach), 참 레(Cham Re), 모이 루이(Moi Luy), 탁 빅(Thach Bich),
모이 선 퐁(Moi Son phong)
- 인구 : 94,000명
- 언어 : 몬 크메르 계통
-거주지역 : 꽝 응아이(Quang Ngai) 와 빈 딘(Binh Dinh) 성내에 거주하고 있다.
의식주 생활
가옥의 외양
지상에서 1미터 정도 떨어진 고상식 가옥에 산다. 각 집의 지붕 꼭대기에는 뿔 같이 생긴 'ki nen'이 있는데, 이것은 지붕의 서까래로 인해 생긴 것이다.
가옥의 내부 구조
집의 구조는 세 부분으로 나뉜다. ‘인 찐(inh chin)’ 이라고 불리는 방은 남자들이 거주하거나 손님방으로 사용되며, 음식을 먹거나 바구니를 만들고 칼을 가는 등의 여러 활동도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반대쪽인 오른쪽에 위치한 ‘인 중(inh doong)’ 이라는 방은 여성들의 가사 일에 사용된다. ‘인 찐’ 과 ‘인 중’ 칸은 각각 다른 사다리로 연결되어 있고, 벽으로 막혀있지는 않으나, 중간으로 ‘따 넴(ta nem)’이라는 방이 있다. 이 방에는 난로가 설치되어 있고 여러 가지 기구들을 모아놓았다. ‘따 넴’ 칸은 모든 가족들을 위한 공동 침실로서도 사용된다.
의상의 형태
흐레 족의 의상에는 여러 장신구가 달려 있으며, 이웃 부족들과 비슷한 모양으로 되어있다. 모자와 스카프가 약간 특이한데, 참 족처럼 같이 하얀 스카프를 머리에 두른다. 치마는 짙은 색으로 아주 세밀하게 수놓아져 있으며, 두 종류의 서로 다른 무늬가 세로로 짜여져 있다. 천의 솔기가 가로로 이어져 있어, 언뜻 보면 치마가 여러 겹으로 겹쳐 있는 것 같다.
경제적 생활
쌀은 이들의 주식으로서, 쌀 농사 시에 비엣 족과 같은 농사도구를 사용한다. 이들은 화전, 고기잡이, 과실채집, 사냥, 바구니 짜기 와 방직도 하며, 일찍부터 정착생활을 해 왔다.
사회와 가족
마을의 성격과 규모
흐레 족의 마을은 자치적인 사회적 집단으로서, 어떤 곳은 100여가구정도가 모여 살기도 한다.
추장의 자격
마을의 추장은 주민들에 의해 선출되는데, 자격은 일정한 연령에 이르고 훌륭한 인품을 소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지식과 상당한 부를 갖춘 자여야 한다.
마을안의 그 외 직책
모든 마을에는 종교의식이나 행사를 주관하는 주술사가 있고, 공동체 안이나 외부와의 관계로 인해 생기는 여러 다툼과 분쟁을 해결하는 판사가 있으며, 젊고 용감하며 전통무기를 잘 다루는 수많은 용사들이 있다.
자산의 소유 형태
마을의 공동재산은 따로 관리하지 않으나, 휴한지, 숲, 강, 길, 모래사장, 물의 상수원은 공공소유로서 관리한다. 사유재산의 형성은 이들에게 있어 일반적인 현상인데, 같은 마을 사람들 끼리나 외부인과도 땅을 사고 파는 것이 자유롭게 거래된다.
사회적 계층의 차이
사회적 계층간의 차이는 이들 사회 내 에서 뚜렷이 찾아볼 수 있다. ‘뿌룽(proong)’ 이나 ‘깐(kan)’ 은 부유한 계층에 속하며, ‘랍 까(lap ka)’는 중산층에 속한다. ‘뿡(poong)’ 과 ‘직(dich)’은 파산계층에 속하는데, 그들의 채권자를 위해 일을 한다. ‘뿌룽’ 이나 ‘깐’ 계층에 속하는 사람들은 집에서 하인을 부리는 경우가 많다.
모계 중심 사회적 경향
가족구조에 있어서는 조금씩 핵가족화 되어 가는 경향인데, 아직까지는 확대형 가족 구조의 흔적이 군데군데 남아 있으며, 부계중심사회로의 이전이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은 모계중심의 가족형태를 지니고 있다. 친가에서 살든 처가에서 살든 부부는 서로 동등하며, 유산에 있어서도 남녀 구분 없이 균등하게 배분되어 지나, 일반적으로 부모를 모시고 사는 막내에게 가장 많이 돌아간다.
결혼 제도
흐레 족은 일부일처제로서 매사취부 나 형사취수가 허락되어지는 대신에, 간통, 근친상간, 이혼은 관습에 의해 처벌되어진다. 과거에 조혼이 성행하였으나, 지금은 거의 없어졌다. 이들은 다른 종족과의 결혼을 받아들이며, 결혼에 상업적인 목적을 결부시키지 않는다. 결혼에 있어 중매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나, 지금은 부모의 도움을 받아 젊은이들이 각자의 짝을 찾기도 한다.
결혼 의식
결혼식은 신랑 쪽이나 신부 쪽 어느 곳에서 든 지 열릴 수 있으며, 결혼식 중에 이들 부족의 믿음에 따라 신랑 신부의 연합을 견고케 하기 위해, 두 사람의 머리를 하나의 끈으로 엮는 의식을 치른다. 또한 부부간의 금실이 좋도록 빈랑열매와 술잔을 양가 가족이 보는 앞에서 서로 교환한다.
결혼 후 거주 형태
결혼 후 신혼부부는 친가 나 처가 어느 쪽에서 든 지 살 수 있는데, 원한다면 따로 살림을 차릴 수 있다. 그러나 결혼 후 친가 쪽에 1년 정도 머무는 것이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종교와 문화
노래와 악기
‘까 쪼이(ka choi)’ , ‘까 레우(ka leu)’ 라고 하는 노래는 흐레 족이 노동 중 잠시 쉴 때나, 일할 때 그리고 젊은 남녀가 서로 만나 사랑을 나눌 때 부르는 일반적인 노래이다. 이들이 사용하는 악기에는 북, 현악기류, 하프의 일종인 ‘롱 뇨이(rong nhoi)’, 박수를 쳐서 대나무 관 안을 통과하는 공기를 이용해 소리를 내는 ‘붓(bbut)’, 쇳소리가 나고 대나무로 만든 종 악기인 ‘찡 깔라(ching kala)’ 등이 있다.
샤머니즘
이들은 재앙이나 역병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미신적인 힘에 의존한다. 이러한 믿음으로 자연신이나 조상에게 제물을 드리며, 풍년과 평화 및 번영을 위해서도 제사 의식을 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