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행정 연구소/베트남 소수종족

6. Malayo-Polinesian 그룹_쭈 루(Chu Ru) 족

임도마 2022. 10. 31. 20:57

EMIV - 44

Austronesian 언어 군  < Malayo - Polinesian 그룹 >

쭈 루(Chu Ru)족

- 다른 이름 : 쭈 루(Chu Ru), 끄루(Kru), 모이(Moi)

- 인 구 : 11,000

- 언 어 : 말라이 폴리네시안 계통 (쭈루 족 내의 하위그룹 중 일부는 몬 크메르 계통의 언어를 사용한다)

- 거주 지역 : 람 동(Lam Dong)성의 돈 즈엉(Don Duong), 덕 쫑(Duc Trong), 지 린(Di Linh)현과 빈 투언(Binh Thuan)성의

                     안 선(An Son), 덕 린(Duc Linh)현 내에 거주한다.

- 참 조 : 원래 쭈루 족의 선조는 중부베트남의 해안 지역에서 살았던 참 족의 한 지파에 속하였으나, 산간지역으로

             이주하면서 땅을 뜯어먹는 사람들(꾸아(cua))’이라는 별칭이 붙게 되었다. 이들은 현재의 거주지역에 논농사

             기술을 가져와 실행하였다.

 

의식주 생활

가옥

쭈루 인은 이엉으로 엮은 지붕이 있는 고상식 가옥에 산다.

의상

이들 여성들은 참 족의 의상과 비슷한 페이건과 조끼를 착용한다.

생활 형태와 재배 작물

쭈루 인은 일찍부터 정착생활을 시작했으며, 오랜 농경역사를 가지고 있다. 주식으로 쌀을 재배하고 그 외 옥수수, 고구마, 카사바, 호박 및 여러 야채류와 콩을 화전이나 정원에서 재배한다.

쌀 재배 지의 두 가지 종류

쌀을 재배하는 경작지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하마 글루흐(hama gluh)’라고 불리는 수전 경작지 나 늪지이고 다른 한 종류는 하마 칵(hama khac)’이라고 불리는 밭 경작지이다.

농업 기술

농업기술은 아직 옛날의 방법을 답습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으나, 관계기술이 뛰어나 논 농사에 알맞은 수로시설을 만들어 내었다.

가축 사육과 그 용도

물소, 황소, 돼지, 말 등의 여러 가축을 기르며, 이중 황소와 물소는 견인용으로 사용한다. 물소의 마리 수가 많은 편에 속하는데, 왜냐하면 제사 용이나 화폐단위로서 많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기타 식량 생산 활동과 물물 교환

여성들과 아이들은 식량채집활동을 많이 하고, 남자들은 사냥과 고기잡이를 함으로 부족한 양식을 보충하는데, 평지 인들과 물물교환을 하기도 한다.

가내 수공업

가장 널리 행해지는 가내 부업은 바구니 짜기 와 등나무와 대나무를 이용해 생활일용품을 만드는 것이며, 대장간에서는 칼, , 곡괭이 같은 기초적인 농사도구를 생산한다. 방직업은 상대적으로 덜 발달되어 있다.

뛰어난 솜씨의 도자기 제작

돈 즈엉(Don Duong)현 내의 브깐(Bkan), 끄랑 고(Krang Go), 끄랑 쪼(Krang Cho) 마을의 도자기 제작은 그 기술이 뛰어나기로 유명하다.

 

사회와 가족

쁠레이의 경계와 그 영역

쁠레이(play)’는 쭈루 족 마을의 기본 행정 단위로서, 그 영역이 몇 제곱킬로미터에 이른다. 추장은 마을의 경계를 확실하게 설정하며, 이러한 마을간의 경계는 전통적으로 상호 존중된다.

토지 소유 형태와 거래 방법

마을의 경계 안으로 공유지가 있으나, 대부분의 거주지와 경작지는 각 씨족, 확대가족, 핵가족 단위의 소유형태로 되어 있다. 가끔 사회 구성원간에 토지 거래가 이루어지는데, 관습에 의해 토지를 사는 사람은 미래의 증인이 되어줄마을의 모든 주민을 초대하여, 방금 산 그 땅에서 특별한 행사를 치른다.

마을내 구성원간의 관계

마을 내의 구성원들은 같은 친족끼리의 이웃공동체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가장의 자격과 권위

각 집의 가장의 역할은 매우 중요한데, 가장의 지위는 집안의 장녀나 여자형제 가운데 한 명이 차지한다. 경작지가 가족의 소유로 되어 있을 때에는 그 토지의 매매에 있어 가장의 결정에 따르게 된다.

마을 구성원의 성격

각 마을에는 두 세 씨족 집단 출신 구성원들이 주민의 다수를 차지하며, 일부 끄호 나 자 글라이 사람 같은 다른 부족 사람들도 있다.

추장의 선출과 그 역할

마을의 추장은 주민에 의해 직접 뽑히는데, 그는 공유지를 관리하고, 농업생산을 지휘하며, 공공행사의 주관 및 외부와의 관계에 있어 대표적 위치를 가지고 있다.

무당과 조산원

추장 외에도 주민들의 영적 생활과 관개시설과 관련된 일을 담당하는 무당이 있다. 또한 한 마을 안에 한 두 명의 조산원(mo boai)이 있어 여성들의 출산을 돕는다.

부자의 특징

쭈루 사회 내에도 부자와 가난한 자가 있다. 부자는 생산수단 및 그 산물의 대량 확보에 의해서라 기보다는 이들이 특권에 대한 상징으로 소유하고 있는 징, 도자기, , 상아, 무소의 뿔, 제사용의 동물 등을 많이 확보함으로서 나타난다.

핵가족화 추세

이들 사회는 모계 중심의 확대형 가족 사회이지만, 점점 핵가족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일반적으로 핵가족이 확대형에서 따로 분가하여 살수도 있지만, 확대형 가족이 몇 개의 핵가족으로 독립적으로 나뉘어져 곡식창고를 따로 관리하고 각자의 이익을 위해 생산활동을 하는 경우도 많다.

확대형 가족 형태와 곡식창고 지기

확대형 가족형태는 길다란 집에서 3-4대에 걸쳐 함께 살아가는 형태를 말한다. 각 집마다 곡식창고 지기가 있는데, 주로 가장 나이가 많은 여성의 남편이 그 역할을 담당한다.

여성 중심의 가족과 외삼촌의 영향

가족 내에서 여성은 일정한 특권을 지니고 있으며, 이들에게 외삼촌은 큰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결혼의 원칙

일부일처제가 원칙이며, 결혼관계는 여성의 청혼에 의해 이루어진다.

약혼식과 결혼식

선택된 남자는 여자가족에게 선을 보인 뒤, 약혼식을 거행하게 되는데, 이때 신랑이 될 남자에게 은반지, 유리구슬로 만든 목걸이 등을 선사한다. 마지막의 결혼식에는 의복, 곡주, 가축 등을 결혼 예물로 제공해야 한다.

결혼후의 관습

결혼식 후 신부는 신랑의 집에서 2주정도 머문 후 자신의 집으로 돌아가는데, 이때 새로운 가족의 구성원이 된 신랑을 환영하는 행사를 연다.

연애의 자유

결혼 전 남녀는 자유롭게 서로 연애할 수 있다.

친족 간 및 타민족간의 결혼

관습적으로 이종 사촌 간의 결혼이 허락되며, 이웃한 민족인 끄호, 자글라이, 비엣 족과도 통혼이 가능하다.

 

종교와 문화

신앙 형태와 의식

쭈루 인은 여러 신들과 조상을 숭배한다. 그러나 집 내부에는 조상에게 드리는 제단이 없고, 단지 조상을 기리는 의식인 꼿 아따우(kot atau)’2-3년마다 한번씩 연다. 이들은 일년에 두 번씩 농업주기의 시작과 끝 시간에 농경 신을 숭배하는 행사를 한다.

문자의 유무와 구전문학

이들에게는 문자가 없다. 과거 카톨릭 선교사들이 라틴 알파벳 체계를 만들었으나, 실효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러나 풍부한 구전 문학의 유산이 있어, 늙은이들은 밤에 민요, 이야기, 시 등을 사람들에게 읊어준다.

악기와 춤

악기로는 끄와오(kwao)’, ‘, (r,tong)’, ‘떼릴리아(terlia)’, 구리징, , 퉁소 등이 있다. 축제 때에는 모든 사람들이 기쁨으로 참여하는 따마가(tamaga)’라는 춤이 음악과 함께 선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