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교행정 연구소/베트남 소수종족

2. Mon Khmer 그룹_끄 호(Co Ho) 족

by 임도마 2022. 10. 30.

EMIV - 8

Austro - Asian 언어 군  < Mon Khmer 그룹 >

끄 호(Co Ho)족

- 하위그룹 : 스레(Xre), -또 놉(Nop-To Nop), 꼬 존(Co don), (Chil), 또 링(To Ring), -라흐(Lat-Lach)

- 인구 : 92,000

- 언어 : 몬 크메르 계통

- 거주지역 : 람 동(Lam Dong) 성의 산간지역에 주로 거주하고, 빈 투언(Binh Thuan), 닌 투언(Ninh Thuan),

                   칸 화(Khanh Hoa) 성에도 거주하고 있다.

- 참 조 : 끄호 족은 오랜 옛날부터 현재의 거주지역에 살아 왔으며, 같은 말레이 폴리네시아 언어 군에 속하는 참, 쭈루,

             자글라이 족과 가까운 관계를 유지해 왔다.

             이들의 거주지역은 20번 국도의 바오 록(Bao Loc)지역에서 지 린(Di Linh) 고원까지이며, 또한 랑 비엥(Lang

             Bieng)의 고원지역으로 올라가는 완만한 경사지에도 거주하고 있다.

 

의식주 생활

가옥의 형태

끄호 족의 집은 사각형이며, 고상식으로 세워져 있다. 어떤 집은 그 길이가 20-30 미터에 이르기도 하고, 폭은 보통 3-3.5미터이며 지상에서 1-1.5미터 정도 떨어져 있다. 집의 전체 재료는 나무이며, 지붕은 이엉으로 엮어져 있고, 벽과 칸막이는 대나무로 되어있다. 이 중 스레 족은 집을 지을 때 조립기구, 못 박기, 볼트 등을 이용한다. 최근의 다른 끄호 족은 벽돌과 슬레트를 사용한 지상식 가옥을 짓기도 한다.

의복과 여성의 장신구

여성은 스웨터같이 생긴 매우 타이트하고 짧은 조끼를 입는다. 장신구로는 귀걸이, 팔지, 구리나 주석으로 만든 목걸이가 있다. 유리구슬로 만든 목걸이와 상아조각으로 만든 귀걸이도 인기가 있다. 남자들은 허리에 지 스트링을 걸치고, 허벅지 중간까지 내려오는 긴 웃옷을 입는다. 여름에는 윗통을 벗고 겨울에는 담요를 두르고 다닌다.

화전 기술

이들은 전통적인 방법에 따라 화전을 한다. 수확을 두 번 한 후에, 10년간의 휴지기를 가진다. 스레 족과 라흐 족 사이에는 논농사가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이들은 수로와 도랑을 만들어 논에 물을 댄다. 모판을 사용하는 모내기를 하지 않고, ‘직파법으로 씨를 논에다 직접 뿌린다. 찔 족은 화전을 주업으로 하는 유랑생활을 하였으나, 논농사를 시작하면서 정착생활 내지, 반 정착생활을 하게 되었다. 화전을 주업으로 하는 끄호 족 내에는 낫으로 수확을 하고 타작을 할 때, 이삭을 줍는 사람들이 있다.

농업 기술의 변화

마 족이 매년 경작지를 새로 찾아 이동생활을 하는 반면, 끄호 족은 여러 지역을 화전경작지로 미리 개간하여 여러 작물을 연속해서 재배하는데 성공하였다. 써레가 이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하였는데, 이것은 이들이 화전경작에 의존하기보다는 점차적으로 밭농사를 시작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재배 작물

쌀 이외에 옥수수, , 호리병, 수박, 목화, 담배를 재배하며, 파파야, 바나나, 잭 푸르트, 파인애플 등의 재배도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수공업 기술

바구니 짜기, 방직 등의 가내 부업으로 인해, 이들은 농한기 중에도 바쁜 생활을 한다. 도자기 제작은 기술적인 면에서 놀랄만한 경지에 이르렀고, 스레 족과 놉 족에는 대장간기술이 발달하였다.

 

사회와 가족

마을의 구성과 거민들 간의 관계

찔 족은 완만한 산간 경사지에서 작은 집단을 이루어 살고 있으며, 몇몇 마을에는 모계중심 사회가 형성되어 있다. 몇 개의 공동체 집단이 모여, 하나의 (bon)’ 즉 마을을 이룬다. 스레 족과 라흐 족은 논농사를 하면서, 지 린 과 람 비엥 의 고원지역에서 비교적 일정한 거주영역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다. 대부분의 끄호 족 마을은 좋은 이웃 공동체 관계를 이루고 있다.

확대형 가족 내의 상호 관계

길다란 형태의 가옥 내에는 몇 개의 핵가족이 모여 살아가는 확대형 가족이 거주하고 있다. 각 핵가족은 각 가족 소유의 생산도구 와 토지 및 곡식 저장고를 소유하고 있지만, 이 모든 것은 일차적으로 꾼 빵(kun pang)’이라고 불리는 가족 내 우두머리에 의해 관리되어 진다. 한 채의 길다란 집은 전통조직사회를 이루는 가장 기초적인 단위이다.

마을의 추장

(bon)’ 에는 꿉 빵스(kup pangs)’ 라고 불리는 회의에서 뽑힌 마을의 추장 격인 꾸앙 본(kuang bon-현재는 'khoa bon')’ 이 있다. 이 추장은 마을의 대소사를 처리하는데, 과거 식민정부는 이러한 조직구조를 이용하여, 세금과 부역을 부과하였다.

공동체 의식과 사유재산 제도

한 집안 내에 사는 핵가족들 사이에는 진한 공동체 의식이 형성되어 있어, 각 가족에 속한 식량저장고가 따로 있긴 하지만, 필요시 서로 도움을 제공하기도 한다. 스레, , 찔 족 내에는 사유재산 제도가 많이 확립되어 있다.

청혼의 형식

끄호 족 여성이 결혼하고 싶은 상대 남자를 발견했을 시, 그녀는 아버지에게 이 사실을 알려야 한다. 그후 외삼촌의 동의를 얻은 다음, 결혼 중매인을 부르게 되고, 청혼하는 형식으로 구리 팔찌와 유리구슬로 만든 목걸이를 남자의 집안에 제공하게 된다. 만약 남자 쪽이 이를 받아들이게 되면, 결혼을 수락하는 뜻이 된다.

모계 중심적 가족 관계-매사취부에 관하여

결혼식후 신랑은 신부의 집에서 살게 되며, 자녀들은 어머니의 성을 따르게 된다. 만약 아내가 젊은 나이에 죽을 시에는 죽은 이의 여동생이 누나의 자리를 대신하게 되어 애곡 기간이 채 끝나기 전에 부부관계를 가지게 된다.

장례식과 무덤 집

가족의 구성원중 한 명이 죽었을 경우에는, 그 시신을 물로 씻은 후 성스러운 나무로 만든 관에 넣어 며칠동안 집안에 보관하게 된다. 이 때 쌀을 시신에게 바쳐야 하며, 이 후 숲 속으로 이관하여 그곳에 매장하나, 간혹 가족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큰 가족묘에 묻기도 한다. 5-6년이 지난 후 탈 장의식을 치르게 되고 무덤 집을 언덕 위에 세운다.

 

종교와 문화

신에 대한 관녑(신관과 종교)

애니미즘적인 사고를 가진 끄호 족은 세상을 만든 신과 느두(Ndu)’ 라고 불리는 인간을 보호하는 신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상위 신 아래에는 태양, , , , 술항아리, 곡식저장고를 지키는 (yang)’ 이라고 불리는 여러 하위 신들이 있다. 각 끄호 족의 가족은 각 가정의 수호신으로 하나의 (yang)’을 선택해서 섬기고 집의 대문 위에 새겨진 이름의 조상을 섬기기도 한다. 이전에 도시 근교에 사는 끄호 족이 카톨릭이나 개신교로 개종하긴 하였으나, 전통신앙을 완전히 저버리지는 못하였다.

성경 번역과 문학적 유산

카톨릭 선교사들이 선교사역을 위해 20세기 초 끄호 족 언어로 된 성경을 로마자를 이용해 번역하였으나, 그 영향력은 아직 미미한 채로 남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작업으로 인해 구전설화나 예술적 문학적 유산들이 많이 보전될 수 있었다. ‘땀 쁠라(tam pla)’ 라고 하는 이들의 서정시는 그 소리가 마치 음악과 같이 경쾌하다.

춤과 악기

끄호 족은 다른 서부고원지역의 여타 소수민족들처럼 의식이나 행사 때 전통 춤을 춘다. 이들이 쓰는 악기로는 구리 종, 트럼펫, 대나무 피리, 물소 뿔로 만든 악기, 대나무로 만든 오보에 와 여러 가지 현악기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