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교행정 연구소/베트남 소수종족

2. Mon Khmer 그룹_므농(Mnong) 족

by 임도마 2022. 10. 30.

EMIV - 9

Austro - Asian 언어군  < Mon Khmer 그룹 >

므농(Mnong)족

- 하위 그룹 : 가르(Gar), (Nong), (Chil), 꾸엔(Kuenh), (Dip), (Biet), 쁘롱(Prong), 쁘레(Preh), 르람(Rlam),

                     시 또(Si to), 부 당(Bu dang), 부 데(Bu Deh)

- 인구 : 67,000

- 언어 : 몬 크메르 계통

- 거주지역 : 닥 락(Dac Lac) 과 람 동(Lam Dong) 성 지역에 거주한다.

- 참조 : 므농 족은 아주 일찍부터 서부 고원지역에서 거주해 왔다. 현재 므능 족 중 일부는 캄보디아에 살고 있다.

 

의식주 생활

거주지형

므농 족은 일반적으로 고원지역의 강이나 호수 근처에 산다.

부족별 가옥의 형태

, 가르, 쁘랑, 쁘레, 시또 같은 므농 족내 그룹들은 지상식으로 집을 지으나, 르람, 찔 족은 가까운 이웃인 에데 족의 영향을 받아 고상식 가옥에서 산다. 집의 길이는 20 - 30미터에 이르며, 지상식으로 지은 집의 폭이 좀 더 넓고, 출입구가 옆에 붙어 있는 반면, 고상식 가옥은 그 길이가 좀 더 길고 출입구가 정면에 붙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상식 가옥

지상식 가옥의 경우 곡식저장고는 가족들이 함께 모이는 난로가 위에 있는 다락에 위치한다. 가르 족의 집은 지붕의 이엉이 거의 바닥에까지 내려와 둥근 출입구를 가려준다.

음식 문화

최근까지도 고립된 지역에 살고 있는 므농 족은 손으로 대나무 그릇에 담겨 있는 음식을 먹는다. 지금은 접시와 사발도 많이 쓰고 있다. 가르 족은 신맛이 나는 국물과 토기에서 요리한 밥을 주로 먹는다. 화전에서 일하는 경우에, 신맛의 국물을 호리병에 담아 가지고 간다. 이들은 소금, 말린 생선, 작은 동물류와 여러 야채를 먹으며, 제사용으로 물소, 돼지, , 오리 등을 기른다.

술 문화

음료수로 술을 일상적으로 마시며, 나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나 술을 즐기고 담배를 피운다.

외모 장식

므농 족은 앞니를 쇠로 박으며, 귓밥을 늘어뜨려 상아나 대나무 조각, 희귀한 나무의 조각 등으로 만든 장신구를 귀에 단다. 이빨은 검은색으로 색칠하며, 빈랑나무의 열매를 즐겨 씹는다.

의상의 형태

남자는 허리에 지 스트링을 걸치고, 위의 옷을 입지 않는다. 여성들은 발목까지 내려오는 망토 같은 것을 걸친다. 남자나 여자 모두 스웨터 같이 생긴 조끼를 입는데, 남자 것의 경우에는 허벅지까지 내려오고, 여자들이 입는 것은 몸에 붙고 그 길이가 짧다. 이러한 옷들은 모두 전통적인 무늬들이 쪽빛(인디고 색)을 배경으로 수놓아져 있다.

장신구와 팔찌의 의의

이들은 은이나 구리 및 동으로 만든 목걸이, 귀걸이, 팔찌 등과 같은 장신구를 좋아한다. 거의 모든 므농 족이 팔찌를 차고 다니는데, 이것은 어느 특정한 의식 중에서나, 친구간의 우정을 두텁게 하기 위해 차는 것이며, 연인간에 혹은 신에게 맹세를 하였다는 상징이기도 하다.

등에 매는 바구니

므농 족은 어디를 가든지 등에 바구니를 메고 다니는데, 그 안에는 그들이 일상 생활에 필요한 모든 것들이 들어있다.

견인용 가축

물소는 무거운 짐을 나르는 견인용으로 사육되는데, 좀더 부유한 집은 코끼리나 말을 기르기도 한다.

토양과 화전

현무암 지대에서 살아가는 이들은 산마루나 언덕의 경사지에서 화전을 하는데, 왜냐하면 다른 일반적인 산간지역에서 화전을 하는 것보다 훨씬 더 수월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업 방식과 자급자족 생활

매년 가족내의 우두머리나 마을의 족장에 의해 어떤 작물을 재배할 것인가가 결정된다. 땅을 갈고 식물들을 불에 태우고 씨를 구멍 속에 심은 후 이들은 경작하기에 알맞은 기후와 날씨를 위해 기도하는 시간을 가진다. 므농 족은 그 인구수가 적은데 비해, 땅이 넓은 편에 속하기 때문에 자급자족의 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농사 도구

농사도구로는 풀을 자르는 용도의 비에(vieh:길고 굽게 생긴 칼)’, 나무를 베기 위한 도끼, 땅을 갈 때 사용되는 오목한 철면의 괭이, 구멍을 팔 때 사용하는 끝 부분이 쇠로 만들어진 막대기, 잡초를 갈아엎을 때의 쇠갈퀴 와 수확 시 사용하는 낫이 있다.

씨앗과 곡식의 보관

종자는 보통 대나무 통 속에 보관한다. 이삭은 손으로 줍고, 곡식은 집, 마당, 화전 위에 지어진 저장고에 보관한다.

물소의 용도

므농 족은 물소를 무거운 것을 나르는 견인용으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모내기를 하기 전 논을 갈아엎을 때에도 사용한다.

모내기

모내기 하기 한달 전에 모판을 준비하나, 벼의 성장을 돕기 위해 전지(剪枝) 하는 작업은 이들에게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재배 작물의 종류

화전에서 쌀, 옥수수, 고구마, 호리병 박, 수박 등을 돌아가며 재배하며, 일정한 경계선 내에서 농사를 짓는다.

수공업의 발달

수공업은 많이 발달하지 않아 가족 내에 필요한 도구를 그때그때 만드나, 어떤 지역은 목화 방직, 수놓기, 옷감에 무늬 그려 넣기, 바구니 짜기 등이 발달해 있어, 예술가로서의 므농 족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다. 대장간 기술은 농사 도구를 만드는데 필요하므로, 일반적으로 확산되어 있다.

코끼리 사냥 및 사육

코끼리를 사냥하고 사육하는 기술은 에 숩(E Sup) 과 본 존(Bon Don) 같은 족속 내에서 발달해 있다. 코끼리 사육 내지 사냥은 상아를 얻기 위해서나, 전쟁, 운송, 무역에 필요한 수단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루어진다.

물물교환의 성행

최근까지도 중심 국도에서 많이 떨어진 지역에 거주하는 므농 족 내에서는 물물교환이 성행하고 있다.

 

사회와 가족

모계 중심 사회와 가족 구조

므농 족은 여러 측면에서 살펴 볼 때, 모계중심사회라고 할 수 있다. 결혼 후 친가나 처가 중 한곳을 정해서 살게 되는데, 주로 처가에서 사는 경우가 많다. 결혼한 부부를 받아들이는 가족이 일반적으로 결혼에 드는 모든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아이들은 어머니의 성을 따른다. 형사취수나 매사취부의 풍토가 아직 남아 있으며, 하나의 확대가족 내에는 두 세 개의 핵가족이 그 구성원을 이룬다.

마을의 추장과 공동 자산

마을의 추장을 (rhut)’이라고 하며, 그는 마을 내 여러 사건을 처리한다. 물의 상수원, 묘지 터, 경작지와 그 외의 거주지역은 마을의 공동 소유로 관리된다.

장례와 무덤 집

죽은 자는 매장하며, 시신을 넣어두는 관은 거의 물소 모양에 가깝게 생겼다. 이들은 장례식을 치르지 않으며, 일년 후 무덤을 없앤다. 그러나 작은 언덕 위에 무덤 집을 지어 그 안에 검정, 빨강, 하얀색의 무늬가 조각된 그릇을 넣어둔다.

 

종교와 문화

므농 족의 숭배하는 신

므농 족은 농사에 관련된 신들 과 코끼리 신을 숭배한다. 가장 영향력이 있는 신은 곡식의 어머니이다.

예술적 재능

이들의 예술적 재능 및 정서는 대나무에 새겨진 뛰어난 솜씨의 무늬를 통해 알 수 있다.

전통 악기

악기로는 구리로 만든 악기 와 종, 커다란 가죽 북등이 있으며, 여러 돌 조각을 모아 만든 리트로 폰(lithophone)’ 1949년에 닥 락(Dac Lac)의 고원지역에서 발견되었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악기로 손꼽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