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도마 이야기/선교 강의

현지 지도력 개발 선교

by 임도마 2022. 10. 17.

현지 지도력 개발 선교

선교행정연구소/선교 자료  2016-06-26 23:24:01


현지인 리더십 개발 선교

 딤후 2:1-3
  내 아들아 그러므로 너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 있는 은혜 가운데서 강하고  또 네가 많은 증인 앞에서 내게 들은 바를 충성된 사람들에게 부탁하라  그들이 또 다른 사람들을 가르칠 수 있으리라.  너는 그리스도 예수의 좋은 병사로 나와 함께 고난을 받으라.

 

세월을 아끼라 :

  삶을 흘러 보내는 것이 아니라 목적대로 살아가는 것이 지혜로운 사람입니다.

  항구를 향해 가는 것은 항해이지만 목적한 항구가 없는 배는 표류입니다.

 

  선교의 궁극적 목표는 열방에 복음이 증거 되어 주님 다시 오심을 맞는 것이다.

(마24:24 이 천국 복음이 모든 민족에게 증언되기 위하여 온 세상에 전파되리니 그제야 끝이 오리라)


  열방에 복음이 증거 될 목표를 위해 다른 사람을 가르쳐야 한다.
1. 복음을 증거할 사역자 양성
   -선교사 파송
2. 사역자 양성을 위한 현지 지도자 양성
  -교회, 신학, 선교 지도자
3. 필요한 사역
  -신학교 (리더십 훈련)
  -세계선교회 (이사회, 선교훈련센터)

4. 현지 지도력 개발을 위해 (2P 2T)


 -현지인 미개척 분야 개발 :
1) 우리가 아니면 할 수 없는 분야가 무엇인가?
2) 이 분야가 현지에 꼭 필요한 것인가?
3) 어디까지 개발해 주어야 하는가? (위양할 수 있는 사역인가?)
 예: 미개척 지역의 확대, 사역 진전 개발, 차기 리더십 발굴, 세계선교협의회 참가 연합

  -개척 모범 : 충성된 사람들에게 (2절) Pioneer
  -훈련 : 다른 사람을 가르치리라 (2절) Training
  -공동 사역 : 고난을 받으라 (3절)     Partner
  -위양 : 뼈를 묻을 각오는 사역이 아니라 선교사로서의 삶이라야 한다. Transfer
          엘리야와 엘리사, 모세와 여호수아는 모두 완전히 사라져 준 위양이다.


성경은 과학과 같이 증명하는 것이 아니라, 믿음의 문제이며,
창조는 진화와 같이 유한한 것과 있는 것에서 출발이 아니라, 무한성과 없는 것을 있게함

선교는 믿음의 문제요, 무한한 것이요, 없는 것을 있는 것으로 부르시는(롬4:17) 역사다.


한국어 기초 : 5년 (01-05)
   -현지 교회 개척 : 2년 (03-05)
한국어 통역 : 2년 (05-06)
신학교 : 8년 (06-13)
   -박사 양성 : 6년 (11)
선교회 조직 : 3년 (11-13)
   -선교사 양성 : 3년 (11-13)
   -선교사 파송 : 4년 (2014년)

 

선교지에서 할 만한 사역이 없으면 한국어 강의를 시작하라

 IVF, SFC, 청년대학부, 중고등부 한국어 캠프
     -오전 한국어 전체 강의
     -오후 1대1 개인 교제
     -저녁 스킷 드라마 발표
졸업 추억여행 캠프

2001년 - 05년 총 10회 캠프 : 연인원 약 150명

   -10% 복음화로 03년 현지교회개척 17명 청년


사역을 발전 시켜라 그 일을 위해 사역자를 만들라. (버전 업그레이드)

    2005년 - 06년  총 4회 한국어 통역캠프 : 연인원 약 40명
       -관광, 한국회사, 전문직 통역 학원

     10% 사역자 4명 : 조직신학 통역 훈련, 설교, 신학강의 통역 (목사 2), 한국어 학원 운영 (동일한 목적)

 

단기팀이 선교 동원에 동역하도록 사역자로 만들라. 다음 단기팀의 동원의 책임이 있다. (스탭, 도우미, 간증자) : 원주IVF 11-14기

 

  사역자 양성을 위한 신학 사역 (기독교계, 교회, 선교 지도자)

 신학 사역의 목적
  -현지인을 통한 복음화
  -각계 지도자 부재 해결
  -전국 확대를 위한 기초


 사역을 발전 시켜라, 확장을 위해 사역자를 만들라. (버전 업그레이드)

  45명의 석사학위자 배출
  7명의 박사학위 -현지 위양
      -하노이 신학교 강의
      -학위 논문은 전공 강의과목

사역 발전, 지역 확장

 
목적
 -무자격 목회자의 자격부여로 양성화
 -신학교의 부재 도전
 -지도자 배출
   학사과정 50명 / 석사과정 30명
   2014학위식 41명 예정


선교적 확장

54개 소수종족 38개 미전도 종족
 -종족 선교를 위해
 -아시아 선교 협력


현지교회와 성도들의 세계선교 동역

 선교 동역을 위한 의식 개혁
    -신학교에서 항상 선교를 들음
    -매주 토요일 세계선교 중보기도(6년)

 

선교회, 이사회, 훈련센터
  -현지인 대표, 임원
  -한국인 재정 이사
  -일반 성도 중보기도 회원


선교 훈련, 선교사 훈련의 차이

  -매일 기도 - 24시간 중보팀
  -선교이론 교육
  -현장 실습 (동원, 모금)
    픙 학비, 금반지
  -국제훈련 (선교사 훈련)


파송 및 훈련센터 확장(하노이), 선교 붐 조성으로 전국 확산

선교사 파송
  -현지교회 1, 한인교회 7, 이사회 2
선교 붐 조성
  -목회자 초청 선교대회 개최 (지도자의 국제대회 참석으로 선교 인식)

자립, 자전을 위한 현지 선교 지도자 양성

 

맺음 :

  위양이 이루어지지 않는 현지 지도력 개발은 1세대에서 그친다.
  온전한 지도력 위양이란 그들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그들이 할 수 없는 분야의 일들을 먼저 가면서 보여주고 이끌어 주라.
  ‘멘토링’하지 말고 ‘코칭’하라.

 


현지인 지도자 개발을 통한 선교전략 

1. 지도자교육과 개발의 성서적 근거  

가. 예수님의 훈련방법
예수님의 제자훈련 방법을 트리니티 신학교의 콜만(Coleman) 박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표현하였다. 제자를 피택하심(눅 16:13:Selection), 항상 같이하심(마 28:20: Association), 희생을 요구하심 (마 11:28: Consecration), 나누어주심(요 20:22: Impartation), 모범을 보이심(요 13:15: Demonstration), 임무를 위임하심 (마4:19: Delegation), 감독하심 (막 8:17:Supervision), 재생산적인 삶을 요구하심 (요 15:16: Reproduction). 예수님이 훈련방법을 시대와 문화를 초월한 진리이며 이러한 방법대로만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틀림없이 열매맺는 사역이 될 것이다.     
탈봇 신학교의 이슬러(Issler) 박사는 예수 그리스도의 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표현하였다. ("4 C") 예수님의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하나님을 만나게 하고 하나님 안에서 성숙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1) Communion : 먼저 예수님의 교육의 목적은 하나님과 교제이다. 이것은 예수님의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우리의 훈련과 교육의 목표는 피 교육자로 하여금 하나님을 만나는 기쁨과 하나님과 교제를 통하여 배우며 성숙해 나가는 것을 말한다.
  2) Character : 이 궁극적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격의 훈련이 필요했다. 예수께서 한 사람 한 사람의 특성을 고려하시면서 그들에게 맞는 지도를 하시되 직설적이면서도 도전적 언어를 사용하셨다. 
  3) Community : 공동체 훈련을 위해 주께서 교육의 장소를 주택, 쉬는 장소, 산, 길거리를 택하셔서 자연스럽게 일의 현장에서 같이 동행하시면서 공동체 훈련을 시키셨다.   
  4) Commission : 주님의 지상명령을 중심으로 하여 복음전파와 봉사의 사역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교회의 지상사명이다.(마 28:19-20)


나.  사도 바울의 훈련 (행 19:10)
  1) 한 인격의 변화는 성령의 능력으로만 가능하고 사역의 힘도 성령으로만 가능하다고 믿는다. 그가 제일먼저 한 일은 제자들에게 성령을 받도록 안수한 일이다.
  2) 두 번째의 단계는 사역을 위한 따로 세움을 받게 하는 일이다. 하나님의 사역은 사역자의 헌신과 하나님의 부르심이 맞아 떨어져야 한다.  한 쪽만 행동이 취해질 때 일을 할 수 있으나 열매는 보이지 않는다.
  3)  철저한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해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공식적(두라노 서원의 학적 분위기와 2년이라는 기간)이면서도 숫자가 적은(12명) 고된 훈련(매일 강의)이었고 문화훈련 (유대인이나 헬라인 모두) 경험적 훈련이었다.(아시아에 사는 모든 이들이 듣도록 전파함)

 2. 지도자교육의 토착화의 당위성

 제3세계(특히, 아시아의 상황에서) 신학교육의 개선해야 근본적인 문제가 무엇인가?
 아시아 상황에 맞는 신학교육의 정착이 아쉬운 이때에 신학교육의 갱신을 위한 토착화된 아젠다(Agenda)가 필요하다. 싱가폴 대학의 야만시아우(Yau-Man Siew)교수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Elmer & McKinney P58-59)
  1) 서구에서 개발한 교육모델을 아시아의 다양하고 복잡한 사회구조에 접목시킬 때에 아무런 비판 없이 받아 드린 다는 것이다. 아시아는 정치적 혼란, 경제적 빈부의 차이, 종교와 민족의 다양성 등 아시아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신학이 풀어 주어야 하는데 서구에서 공부한 학자들이 아무런 문제의식 없이 서구의 것을 그대로 가르치는 경우가 많아 아시아의 기독교는 서구화 된 기독교로 만들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 신학적 서구의 의존심은 토착화 작업에 있어서 주체성과 창의력을 파괴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신학의 서구화는 지역적 필요와 상황에 맞는 신학개발이 등한시되고 지역적 상황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 된다.
   아시아 신학자들은 민족주의가 빠르게 퍼져가는 아시아에 구태적인 제국주의적 신학의 접목을 지양하고 아시아에 맞는 신학개발에 공헌할 수 있는 신학자들이 나와야 한다.
  아시아 신학자 노봉린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Western evangelical theological schools emphasize the inerrancy of Scripture and orthodox theology versus liberal and neo-orthodox theologies. But these are not major issues in Asia. Rather, the prevalent areas of concern are poverty, suffering, injustice, communism and non-Christian religions."
  사실은 이러한 문제는 신학적인 문제라기 보다는 선교학적 차원에서 해석해야 할 이슈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선교학에서는 복음의 현장화(Contextualization) 작업이 없이는 복음의 진수가 그 지역 상황에 맞지 않는 경우가 있고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때문에 상황화 작업은 곧 복음의 커뮤니케이션의 기초적인 작업이 되어 현장인들의 옷을 입도록 해야 한다.(영어의 Relevant와 Meaningful 이란 단어는 현장화 작업에 필요한 말이다.  … 무슨 뜻인가?

3. 지도자 개발 방법의 유형들

가. 신학교육을 통한 지도자 개발 (Formal)
학위 중심의 교육제도를 소위 Formal Education이라 부른다. 이 교육의 특징은 학생들로 하여금 학위를 취득하게 하기 위하여 일정한 기간을 채워야 하며 Full-time 학생이 요구된다.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학교체제가 확고하며 정부 또는 협의체의 인가를 받게되어 공식적으로 학위 또는 학력을 인정받게 되어 진학하는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신학교육에서 문제점은 학생들이 너무 학위 위주의 공부를 하게 되므로 사명보다는 학위에 더 관심을 갖게 되므로서 졸업 후 세속 직장을 찾는 경우가 있다. 또 한 가지 문제는 정식교육제도와 시설과 교수진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영비가 많이 소요된다.

 나. 선교교육을 통한 지도자 개발 (Non-formal)
Non-Formal 교육은 지도자 훈련이나 비공식적 훈련 프로그램에 적격이며 1년 또는 2년의 프로그램으로 운영할 수 있고 짧게는 1주간의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다.  대체로 참석자들은 직장을 가지고 있거나 직장을 쉬는 기간을 이용하여 훈련을 받기 때문에 Part-time학생이라고 불리운다. 이 프로그램의 장점은 위에서 언급한 학위위주나 운영경비가 많이 들지 않는 것이 특징이어서 어느 곳에서나 어느 때에 쉽게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다. 또 한 가지 장점은 참가자들(학생)의 동기의 순수성이 있어 좋고 사역에 필요한 실질적 훈련을 할 수 있다. 단점은 학생들의 진지함이 결여되고 타 기관의 인정을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