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교행정 연구소/베트남 정보

베트남 불교와 사역전략

by 임도마 2022. 10. 17.

베트남 불교와 사역전략

선교행정연구소/선교 자료  2016-06-26 23:45:55


베트남 불교와 사역전략

인도차이나 지역 국가와 종족들은 모두 복음을 필요로 하며, 거의 공통적으로 불교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베트남의 주 종족인 낀(kinh)족의 종교는 불교가 대부분이다.

베트남 불교는 2-5세기는 주로 인도 불교의 영향을 받았고, 6-10세기는 중국의 지배로 인해 중국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독립 후 15세기까지는 베트남 불교가 가장 발전했던 시기로 승려들이 정치, 군사, 외교, 경제 방면에서 왕의 고문 역할을 했다. 그러나 레(Le)왕조(1400-1802)는 유교를 국교로 삼았고, 유교가 국교인 응웬(Nguyen)왕조(1802-1945)에서 불교는 민중을 중심으로 계속 발전하였다.

프랑스 식민시기(19세기) 베트남 불교는 크게 두 가지 특징으로 나타났다.

첫째, 기존종교와 민간신앙을 결합한 신흥종교의 출현으로, 유교, 불교, 도교 등이 전통 민간신앙과 결합해 출현한 신흥불교는 민족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띠는 민족종교 내지는 신비주의적인 면이 많았는데, 까오다이(Cao Dai)교와 호아하오(Hoa Hao)교가 대표적 예이다.

둘째, 스리랑카, 인도, 중국, 일본 등에서 시작된 불교갱신운동으로, 불교를 학문으로 인식하며 연구하기 시작했고, 불교 현대화를 목표로 서구단체들을 모방한 각종 조직들이 생겨난 것과, 신문, 책과 같은 베트남어 전도 출판물이 다양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1951 '베트남불교총회'가 조직되고 세계 연대를 목적으로 '세계불교연맹'에 가입했다. 불교 사원은 민족해방운동의 거점으로 이용되었기 때문에 프랑스 식민 당국으로부터 많은 탄압을 받았다. 1975년 베트남을 공산화한 하노이 정부는 1981년 베트남 9개 불교종파들을 '베트남불교교회'로 통합했다. 1993년 호치민시에서 열린 제3 '베트남불교회'는 전 국민의 85%가 불교신자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2001년에 발행된 '2000년도 베트남불교연감'에 의하면 불교 신자는 1천만 명으로, 이는 전 인구의 약13%에 불과하다. 이로서 베트남 불교 신자는 조상의 영향으로 명목상 불교이지 실제로는 불교 신자라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종교상황에서 효과적인 사역전략은 명목상 불교신도인 젊은 계층을 대상으로 종교교육을 중심으로 한 전도를 시행하는 것이다. 일명 세계종교 아카데미란 단기 캠프를 열어 각 종교간 비교를 통해 복음을 듣게 하는 전도 전략으로 매년 정기적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음 전도자들에게 비교종교학과 같은 과목을 통해 타종교에 대한 이해를 더욱 증대할 필요가 있다.

이 전략을 통해 명목상 불교도인 저들을 생명의 복음으로 인도하여 변화시키고, 그들이 자신과 동일한 영혼들에게 복음을 들고 다시 나가도록 하는 것이다.